오라클의 구조와 작동 프로세스는 매우 복잡하기에 전체 구조를 하향식으로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메모리 구조와 저장 구조로 분류됩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구조를 인스턴스, 저장 구조를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릅니다. 휘발성 데이터 영역인 인스턴스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거나 데이터베스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저장소라고 부르고,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하게 됩니다.
오라클 공식 문서에서 제공하는 오라클 구조도입니다. 상당히 복잡해 보이므로 조금 더 단순한 이미지로 변환해보겠습니다.
인스턴스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Oracle에 작업을 요청하면 Process 단위로 메모리 구조에 전달됩니다. 데이터를 조회하는 SELECT 문 쿼리를 요청할 수도 있고 데이터에 값을 집어넣는 INSERT문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인스턴스는 복잡한 내부 작업을 거쳐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찾은 후 사용자에게 전달합니다.
'DB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SQL 기본 문법(DCL, TCL) (0) | 2024.12.29 |
---|---|
3. SQL 기본 문법(DML) (0) | 2024.12.01 |
2. SQL 기본 문법(DDL) (1) | 2024.11.25 |
1.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1)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