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3

[aws] 6. RDS(데이터베이스) 생성 + EC2 연결 + 테스트

저번 시간에 EC2 서버를 생성하였고 이번에는 RDS를 생성해 볼 것입니다. RDS이전에는? 예전에는 EC2 서버 하나에 직접 DB(DataBase)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다뤘습니다. 이를 셀프 호스팅(Self Hosting) 또는 셀프매니지먼트(Self Management) 데이터베이스라고 합니다. 하지만 위 방식은 1.관리가 불편했고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거나 2.장애가 생겼을 시 대응하기 어려웠습니다. RDS란? 그래서 나온 것이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이는 EC2 서버에서 정해진 엔드포인트로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백엔드 서버는 EC2에서 돌고있고, 데이터베이스는 RDS에 분리시켜 돌아가도..

[aws] 3. AWS 회원가입·로그인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현 시점의 AWS 메인 화면입니다. 우측 상단의 AWS 계정 생성을 클릭해 주세요. Root user email address에 실제 존재하는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AWS account name은 사용할 닉네임을 편하게 입력해주세요. 이후 Verify email address를 클릭하면 입력한 메일 주소로 메일이 날아갑니다. 이후 이메일에서 Verification code 6자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암호를 입력하고 Continue를 클릭! 영어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잘 모르겠으니 https://www.jusoen.com/ 영문주소변환 지번주소,신주소 등의 한글주소를 영문주소 변환 해주는 영어주소검색,영문주소변환기 www.jusoen.com 검색창에 '영문주..

[AWS] 1. 웹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작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수익을 내보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그 과정에서 굉장히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실제로 웹사이트를 배포해보고 싶은 분들께서 제 글만 보고도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만들고 실제 수익을 창출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을 달아주시면 제가 해결할 수 있는 선에서 도와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고수분들께서는 지적할 부분은 따끔히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